-
LG U+ 테더링(핫스팟) 감지를 우회하는 방법 (갤럭시)Tip 2020. 10. 27. 19:32
LG U+의 핫스팟 감지를 회피하는 방법>
LG U+ 모바일 핫스팟 사용시 나눠쓰기 데이터 대신 일반 데이터를 사용하는 방법 (갤럭시)
저는 LG U+의 '추가 요금 걱정 없는 데이터 69' (LTE) 요금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.
어쩌다 보니 유선 인터넷이 설치되지 않은 환경에서 며칠간 업무를 볼 일이 생겨서 모바일 핫스팟 기능을 이용해 스마트폰의 데이터를 사용하게 됐습니다.
사용 중인 69 요금제는 데이터 사용 시 일 5GB의 데이터를 제공하고, 초과 시에는 QoS를 거쳐 낮은 속도로 무제한 사용이 가능합니다.
이름대로 추가 요금이 청구될 일이 없다보니 별생각 없이 핫스팟을 사용했는데요.
3일 정도 사용했을 때 이런 문자를 받았습니다.
알아보니 유플러스는 무제한 요금제라고 하더라도 테더링(핫스팟)에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를 별도로 정해뒀더군요. 제가 사용하는 요금제는 월 11GB의 용량을 핫스팟에 사용할 수가 있었습니다.
데이터 선물하기 기능을 제한하는 것은 이해가 되지만, 남에게 주는 것도 아니고 가입자가 자신의 기기에서 사용하는 것 까지 통신사가 제한한다는 점이 납득이 되지 않더군요.
그래서 해당 제약을 회피할 방법을 찾아보았습니다.
참고한 글은 아래 두 포스트 입니다.
U+의 경우 스마트폰에서 직접 네트워크를 사용할 때와 핫스팟을 통해 네트워크를 공유할 때 사용하는 APN 설정이 별개로 존재합니다.
이에 관련된 설정은 설정 앱 - 연결 - 모바일 네트워크 - 엑세스 포인트 이름(APN)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기는 하지만, 테더링에 사용하는 두 번째 APN은 숨겨져 있습니다. 수정 또한 불가능하구요.
따라서 기본 설정 어플리케이션 대신 통신사의 히든 메뉴에 접근해야 합니다.
기본 전화 어플을 켜고 319712358 을 입력합니다. 입력한 뒤에 전화 버튼 누르거나 할 필요는 없습니다. 마지막 8을 입력하면 메뉴가 바로 열립니다.
경고문이 하나 뜰텐데 당연히 OK를 누릅니다. 이제 무슨 문제가 생기면 시도한 사용자의 과실이 되겠죠. 잘 모르겠는 설정은 만지지 않도록 합니다.
OK를 누르면 패스워드를 입력하라고 할텐데요. 이 비밀번호는 통신사마다 다릅니다.
지금 사용중이신 통신사와 같을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는데요. 전원을 켤 때 로고가 나오는 통신사의 비밀 번호를 넣으면 됩니다.그렇다고 지금 휴대폰을 끌 필요는 없겠죠. 화면 왼쪽 위를 보면 LGU Hidden Menu라고 친절하게 써있죠?
통신사별 비밀번호는 이렇다고 합니다. 저는 U+라서 SK와 KT의 비밀번호가 맞는지는 모릅니다. LG는 0821 맞네요.
LG : 0821
SK : 996412
KT : 774632모르는건 만지지 않고 Data Setting을 누릅니다.
APN을 누릅니다.
이제 스마트폰에 있는 APN의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.
저의 목표는 LG U+ Tethering APN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죠. 그런데 메뉴에 APN 삭제나 추가는 없습니다.
지울 필요가 없기 때문이죠.저 APN중에서 제일 위에 있는 LG U+ 를 누릅니다.
아무것도 만지지 말고 제일 밑에 있는 APN 유형만 수정하면 됩니다.
APN 유형의 원래 값은 default,supl 입니다.
뒤에 dun을 붙여서 default,supl,dun 으로 수정하면 됩니다.dun을 붙이는 것은 데이터 테더링시에 이 APN을 사용하겠다는 의미입니다.
수정시 알아두셔야 하는 점은 APN을 수정한 뒤에 뒤로가기를 누르면 저장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.
APN을 수정하고 나면 그냥 홈 버튼을 눌러서 앱 밖으로 나가십시오. 그리고 다시 들어와보시면 수정사항이 저장되어 있습니다.이제 U+ Tethering 을 수정할 차례입니다.
APN 유형에 dun 이라고 적혀있을텐데요 이걸 지우면 됩니다. 저는 까먹을까봐 dun orig 라고 적었는데요.
아무튼 dun만 아니면 테더링시에 이 APN을 사용하지는 않기 때문에 상관없습니다.여기까지 수정하고 저장하면 핫스팟을 이용해 스마트폰의 네트워크를 사용할 때 나눠쓰기 데이터 대신 본연의 데이터를 소진하게 됩니다.
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를 사용하는 U+ 이용자가 알아두면 좋을 것 같아서 정리해두었습니다.
수정한 내용을 보면 큰 문제가 생길 것 같지는 않지만, 수정하지 말라고 숨겨둔 메뉴를 수정하는 것이니
해도 될지 안될지는 스스로 판단하고 사용하세요.